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행 : 송현민 / 연출 : 장지윤
월~목| 20:00 ~ 21:00

기성예가箕城藝歌(배뱅이굿과 평양잡가) 관람후기 / 그리고 신청곡
  • 작성자무상초들녁
  • 조회수653
  • 작성일2021.04.18

2021년 416일 오후 6시 한국문화재재단 풍류극장 기성예가(배뱅이굿과 평양잡가)는 박정욱 서도소리 명창의 52번째 정기공연으로 유경(柳京패성(浿城)과 함께 평양의 별칭인 기성(箕城즉 평양의 노래 배뱅이굿과 평양잡가 공연이다.

 

201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배뱅이굿 예능보유자 이은관(李殷官)의 별세이후 거의 사라져버린 배뱅이굿과 남북분단 70년으로 그 흔적마저 찾기 어려운 평양잡가를 접할 수 있었던 고귀한 공연이다서도소리 예능보유자 고(김정연선생과 이은관선생의 전수자인 박정욱 명창이 수년간 이어오고 있는 각고의 노력이 만들어낸 선물이며 행복이다.

 

배뱅이굿은 평안도와 황해도 민간에서 불리던 서도 소리의 하나로 한명의 소리꾼이 장구 반주에 소리와 아니리로 마치 판소리를 하는 것 같다태어날 때 어머니의 꿈에서 잘린 댕기머리잘린 긴 머리카락이 배배 꼬인 형상의 달비 한 쌍을 받아 배배 틀어 치마폭에 쌌다하여 이름을 배뱅이라고 지은 문벌 높은 집안의 귀한 무남독녀가 18세에 상사병을 얻어 죽자엉터리 박수무당이 교묘한 수단으로 거짓 넋풀이를 해주고 많은 재물을 빼내어 그 집안을 풍비박산 낸다는 서사적(敍事的)이야기를 풍자와 흥미로 풀어낸다.

 

박정욱의 날카롭고 높지만 청아한 이은관의 목소리가 재생한 것 같은 소리는 점점 희미하여져 가는 배뱅이 소리의 맛을 과거 속에서 끄집어내어 한편의 영상으로 그려 주었고가볍고 경쾌한 장구장단을 밟으며 노니는 음률은 조선시대 양반사회 지배구조를 비토(veto)하고 싶었던 서도지방 사람들의 여망이 담긴 춤사위가 훨훨 나는 것 같았다.

 

평안남도 민중들이 입었다는 하얀 무명 치마저고리에 붉은색과 파란색의 조끼를 번갈아 입으며 박정욱의 이끔 따라 패성가기성팔경가향산록제전/ 4곡의 평양잡가와 둥둥타령물레타령용강 잦은아리(타령)/ 3곡의 평안도 민요를 들려준 여성 10명 남성2명의 서도소리전통예술원 소리꾼들의 아름다운 소리에 남북분단 70년의 아픔과 고통이 가슴깊이 절절하게 전해졌다.

 

평양잡가는 고음으로 목을 조여 치켜서 떨며 슬픈 느낌을 주면서 느리게 부르는 특징의 서도소리이지만 가락이 정악같이 단조로우면서도 흥이 들어있고 조선의 선비들이 즐겼다는 풍류음악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어렴풋이 이해할 것 같았다.

 

평양사람들의 생활문화를 풀어낸 타령은 어깨를 들썩이며 저절로 따라 불렀지만 열둘 소리꾼의 떼 창 소리에 묻혀 하나가 되었고아직도 귓전을 맴도는 아이고 아이고 성화로구나” 민중의 희로애락이 그대로 드러나 보여 내가 소리 속 주인공인 양 빨려들었다.

 

무대 뒤 영상화면에는 평양성과 대동강의 옛 모습이 비쳐지고 그 위로 소리 따라 한 줄 한 줄 가사가 새겨지며 머릿속에는 그 시절 평양과 묘향산의 모습과 아름다움이 펼쳐졌고북망산에 묻힌 임의 무덤을 찾아가 제사를 드리는 인생 무상함도 살며시 파고들었다.

 

약 2시간의 공연을 위해 사라져가는 원형을 되살리고 세상에 전달하기 위해 노래가사를 찾고 어렵게 구한 음반소리를 복기해 가며 3여 년 동안 거의 매일 소리공부를 한 박정욱과 서도소리전통예술원 12명 소리꾼들의 노고가 녹아내린 기성예가는 희열벅참감동으로 가득 찼다.

 

박정욱 명창과 서도소리전통예술원 12명 소리꾼이 공연이 빛날 수 있게 함께 만들어 주신 장구피리대금해금건반반주자 분들에게 두 손 모아 고개 숙여 고마움을 전한다.

 

신청곡 : 기성팔경가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