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행 : 송현민 / 연출 : 장지윤
월~목| 20:00 ~ 21:00

고궁무악전(古宮舞樂展) 첫날 태평무악(太平舞樂) 후기
  • 작성자무상초들녁
  • 조회수1950
  • 작성일2015.10.21

가을 달밤 궁궐에 퍼진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축(丑:새벽1시)시에 시작하여 밤을 세워가며 지내던 종묘대제(宗廟大祭)를 현대에 들어와 편리성을 쫒아 한낮에 지내니, 보여주는 제사가 된지 수십 년이라, 땡볕에 듣는 제례악은 집중력도 사라지고 지루하고 지겹기만 하였는데, 이밤은 돌아가신 선왕(先王)들이 오셔서 선물을 받으시고, 악가무(樂歌舞)를 즐기시면서 정성으로 차린 음식을 드시고, 후손들에게 칭찬하시고 돌아가시는 모습이 그려져 보이는 아름다움의 향연(饗宴)이었다.


영조 38년(1762) 윤5월 13일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돌아가신 사건이 벌어진 현장 ‘ 창경궁 문정전 ’ 마당에서 한국문화의집(Kous) 진옥섭 예술감독의 해박(該博)한 지식과 쉽게 풀어주는 해설 속에서, 신을 불러들이는 음악으로 조선 역대 왕들의 문덕(文德)을 찬양하는 음악 영신희문(迎神熙文), 찾아오신 선왕들에게 왕이 첫잔 술을 올리는 곡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 선물을 드리는 곡 전폐희문(奠幣熙文), 왕세자와 영의정이 두 번째, 세 번째 잔을 올릴 때, 선왕들의 무공을 칭송하는 곡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이 이어지며, 문무(文舞)와 무무(武舞)가 펼쳐지니, 한(恨)과 사도(思悼:생각하며 슬퍼한다)로 엉클어진 아버지와 자식의 250년 세월도 녹아내리는 것 같았다.


공연예술은 첫째로 실연되는 환경이 절대적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누가 어떻게 얼마나 보여주느냐가 관객들이 행복을 채워가는 기쁨인데, 우아하고 바르며 고상한 세계 최고의 음악을 종묘제례악 보존회의 최고 연주로 궁궐 깊숙이 자리 잡은 조선왕의 편전(便殿) 뜰 안에서 고고한 가을 달빛 맞으며 즐긴 행운은 언제다시 찾아올까 알 수 없는 무한한 기쁨이었다.


이 크고 아름다운 향연의 시작을 ‘ 길굿 ’으로  알리고, 찾아와 거한 대접을 받고 돌아가시는 선왕들의 앞길을 즐거움으로 채워 주는 듯, 씩씩하고 힘찬 ‘ 오채질굿 ’과 동서남북, 중앙 오방(五方)을 감아 돌다 풀며 자반뒤집기로 넘고 또 넘던 ‘ 오방진 ’의 역동적이며 화려한 호남우도농악을 펼친  여성농악단 ‘ 연희단 팔산대 ’가 공연장에 쌓이려는 정(靜)을 동(動)으로 바꿔주며, 창경궁 야간개장 행사에 맞춰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주최한 < 고궁무악전古宮舞樂展 >첫날 태평무악(太平舞樂)을 더욱 빛나게 했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