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행 : 김보미 / 연출 : 김정은
조연출 : 이예리 / 작가 : 윤은숙
월~일 | 18:00 ~19:30

햇살학당을 따라가며 7, 대금(大笒 )
  • 작성자무상초들녁
  • 조회수3234
  • 작성일2014.05.21

                  대금(大笒)

 

신라 삼죽(三竹)의 하나로젓대라고도 한다. 전해 오는 여러 관악기 중에서 길이가 길고 관이 굵은 편이며, 청공(淸孔)을 통해 다양한 음악성을 구사하는 표현력을 지니고 가로로 잡고 부는 한국의 대표적인 횡적(橫笛) 관악기이다. 궁중음악과 줄풍류 연주 및 가곡 반주 등에 쓰이는정악 대금과 대금 산조나 시나위, 민속무용,민요,굿, 반주 등에 쓰이는 산조 대금이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설화에 < 신문왕 때 동해에 작은 산이 있어 그 모양이 자라 머리와 같고, 그 산 위에 대()가 있는데 낮이면 둘이 되고 밤이면 하나가 되매, 임금이 이를 베어오게 하여 그 대나무로 젓대를 만들어 월성(月城) 천존고(天尊庫)에 보관하였다. 젓대를 불면 적군이 물러나고 병이 나았으며, 가물면 비가 오고 장마가 지면 날이 개었으며, 바람이 잠잠해지고 파도가 잔잔해졌다. 그래서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고 부르고 국보로 삼았다.> 하여, 향삼죽(鄕三竹)이 신라에서 기원 했다 하나,일본후기(日本後紀) 17<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의 본국에서 적() 또는 횡적이 연주됐다.> 는 기록으로 보아 통일신라의 삼죽(三竹)은 고구려와 백제의 멸망 이후 그들의 횡적을 수용하여 발전시킨 결과물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고려사 악지(高麗史 樂志)에 대금은 속은 비어 있고 머리는 막힌 대나무 관대(管帶) 하나에 취공(吹孔)1, 청공(淸孔)1, 지공(指孔)6, 칠성공(七星孔)5개를 합해서 13()이 있다고 기록되어서 있지만, 13공이 무엇인지는 불분명하며, 현재 취구(吹口)1, 청공1, 지공6, 칠성공1개로 이루어져 있다.

 

독특한 음색을 내기 위해 입김을 불어넣는 취구(吹口)와 손가락으로 막고 때는 지공(指孔) 사이에 묶여 있는 작은 금속판 아래 구멍, 청공(淸孔)은 막이 도톰하고 폭이 널찍하며 색이 하얀 갈대 속의 얇은 막을 채취해 말린 청()을 덮어서 만든다. 맨 아래 칠성공은 악학궤범의 허공(虛孔)으로 민간에서는 바람새 또는 조종구멍으로 대금의 음률을 조정하기 위해서 뚫어놓은 구멍 이다.

 

악학궤범에 묘사된 대금의 전체적인 구조는 변하지 않았지만, 규격 면에서는 취구는 현재 타원형에 비해 원형에 가까웠고, 그 면적도 현재보다 작았으며 지공도 작았다, 한다. 관대의 길이도 지금보다 짧았고 현재의 대금 음역보다 약 3도 가량 높았을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처럼 대금의 구조는 조선 후기와 현대로 전승되면서 점차 길이가 길어지고 취구가 넓어져 오늘날에는 음역이 낮은 정악용 대금으로 전승되었다. 현행 정악대금(正樂大笒)의 길이는 약 80정도이나 산조대금(散調大笒: 일명 시나위젓대)은 정악대금보다 짧고 가늘다.

 

 

대금은 대나무 중에서 여러 해 묵은 황죽(黃竹)이나 양쪽에 골이 패인 일종의 병죽(病竹),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든다. 쌍골죽을 환영하는 이유는 대나무의 내경(內徑)이 두텁고 단단하여 자유로이 조정하여 음정을 맞출 수 있고, 음색 면에서도 소리가 맑고 여무진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관현악에서 피리(觱篥)와 함께 주선율을 담당하는 관악기이며 독주악기로 도 연주되고 있다. 특히 편종이나 편경처럼 고정 음을 가진 악기가 편성되지 않은 향악을 조율할 때 음정을 결정하여 주는 역할을 하며, 합주를 시작하기에 앞서 대금 연주자가 먼저 임종(林鐘) 소리를 내서 그 소리에 맞추어 다른 악기들이 조율한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