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음반/새음원

다양한 우리음악 감상을 위해 국악방송은 항상 노력합니다.

국악방송이 제작한 음반과 음원들을 만나보세요.

김동언 부산기장오구굿

음원 상세 설명
제목 김동언 부산기장오구굿
연주자 김동언 외 4명
제작자 (재)국악방송
레이블
발매일
판매중

소개

2020년 새음원 시리즈 [김동언 부산기장오구굿]

부산 지방의 오구굿은 1972년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상남도편)』 (문화재관리국)와 1983년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문화재관리국)에 조사, 보고되어 있고, 현재는 김석출의 후손들이 유일하게 전승하고 있다. 김석출은 자신을 비롯해 직계가족을 순차적으로 경남 동해안의 굿을 익히게 하였고, 그 결과로 부산과 울산일대에서 혈연관계에 의한 가장 방대한 조직력을 갖추면서 부산, 경남굿을 할 수 있게 된다. 김석출 일가의 이러한 부산 진출에 의해 현재 부산지역의 굿은 후손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으며, 그 중 <부산기장오구굿>은 김동언, 김동렬 부부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특별히 이 음원에서는 아들 김진환과 남편 김동열, 조카 조종훈이 연주로 함께한다.

무의 및 무가 보유자 <김동언>은 부친인 <김석출>을 기준으로 확실한 전승계보를 가지고 있으며, 오구굿 의식절차, 내용, 양식에 관해 두루 능통할 뿐 아니라, 오구굿 특유의 사설풀이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빼어난 기예를 갖추고 있으며, 지화, 용선, 무구 등의 제작에 두루 능통하여 모두 보유자로서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

<부산 기장 오구굿>은 부산과 기장 일대에서 3일에 걸쳐 연행되는 위령굿의 하나로서, 죽은이의 혼을 천도하는 위령마당굿으로서 집안굿, 방안굿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같은 권역 내 풍농 풍어를 비는 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과는 그 목적이나 기능을 달리하고 있다. 또한 경북 지역의 오구굿과는 전승계보 사상의 유사성과 굿 진행절차 상의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나, 사설이나 음악, 춤, 복색, 무구 등에서 큰 차이점을 보인다. 특히 염불이나 고삼, 자삼, 가락 등 불교적인 내용과 색채가 짙게 혼융되어 있어 불교의 재 양식과도 비교 가능한 독특함을 띄고 있다. 그리고 해원과 축원의 사설풀이와 함께 노래와 춤과 각양의 조형형상으로 살풀이의 극점인 신명을 불러 일으켜 죽음을 맞이하고 망자를 보내는 한국 샤머니즘 특유의 생명사상과 가무정신을 보이는 것이므로, 이에서 민족적 무의식과 미의식의 원류를 살펴볼 수 있다.

트랙정보보기

번호 제목 연주자 시간 듣기 내용
1 부산기장오구굿 - 초망자 (어청보) 김동언 외 3명 18:54 음원듣기 내용보기
2 부산기장오구굿 - 지옥가 김동언 외 3명 14:52 음원듣기 내용보기
3 부산기장오구굿 - 고삼염불 김동언 외 2명 05:41 음원듣기 내용보기
4 부산기장오구굿 - 자삼염불 김동언 외 2명 08:57 음원듣기 내용보기
5 부산기장오구굿 - 신태집 김동언 외 2명 05:47 음원듣기 내용보기
6 부산기장오구굿 - 발원굿 (소리,장구) 김동언 외 1명 58:52 음원듣기 내용보기
7 부산기장오구굿 - 발원굿 (소리,장구,쇠,징) 김동언 외 3명 1:06:07 음원듣기 내용보기
8 부산기장오구굿 - 초롱가 김동언 외 3명 08:22 음원듣기 내용보기
9 부산기장오구굿 - 용선가 김동언 외 3명 10:25 음원듣기 내용보기
10 동해안별신굿 - 성주굿 김동언 외 3명 39:54 음원듣기 내용보기

음원정보보기

2020년 새음원 시리즈 [김동언의 부산기장오구굿]

<김동언_1956>
- 부산시무형문화재 제23호 부산기장오구굿 보유자

소리 : 김동언
무속장구(뒷소리) : 김진환
쇠 : 조종훈, 전지환
징 : 김동열

Recording Date 2020.12.17.
Recording Studio 국악방송 991 스튜디오
Recording & Mixing & Mastering 장형덕
Producer 김은혜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