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전라도밥상

진행 : 양지현 / 연출 : 길현주 / 작가 : 유찬숙
월~금 | 16:00 ~ 17:55

20191104(월) 더덕김치
  • 작성자무돌길
  • 조회수1154
  • 작성일2019.10.25

더덕김치

 

 

[꾸미기]IMG_4579.JPG

 

 

더덕은 쌍떡잎 식물 합판화군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 식물로 한국이 원산지이고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 한다. 강원. 정선. 평창등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며 재배도 가능한데 3~4월에 파종하고 9~10월에 수확 한다. 산 더덕은 산삼에 버금가는 효능이 있다하여 사삼(沙蔘)이라고도 한다. 생약 명으로는 양유(羊乳). 통유초(通乳草). 토당삼(土黨蔘) 이라고도 하며 한약명은 양유근(羊乳根). 산해라(山海螺)라고 한다.

 

 

더덕에는 다량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혈관 질환과 암 예방에 도움이 되고 피로회복의 효능이 있다. 또한 칼륨. 철분. 칼슘. 인 등의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된 알칼리성 식품으로 고기류와 함께 섭취하면 고기의 산성성분이 중화되므로 음식 궁합이 좋다. 그리고 더덕의 주된 성분 중 하나인 이눌린은 혈당조절을 돕는 천연 인슐린으로 불린다. 최근에는 더덕이 항비만. 간 기능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지기도 하였다.

 

특히 더덕은 검은깨 및 고추장과 궁합이 잘 맞는다. 더덕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부족한 편인데 검은깨가 이를 보충해 주고 고추장은 더덕의 쓴맛을 완화해 주기 때문이다. 가을에 수확한 햇 더덕을 껍질을 벗겨내고 칼로 갈라 소금에 절여서 김치 양념에 버무리면 식감이 사각사각 하고 향이 좋아 김장철이 되기 전 김치 대용으로 유용하다

 

재료준비

 

햇더덕 1Kg / 고춧가루1/ 찹쌀풀 2/ 새우젓갈국물 5큰술 /매실청 3큰술 / 청홍고추 각5개 


 

만드는 방법

[꾸미기]IMG_4562.JPG 
[꾸미기]IMG_4565.JPG 
[꾸미기]IMG_4574.JPG

 

1. 더덕은 곧고 두툼한 걸로 골라 이물질을 털어내고 씻어 둔다.

2. 1.의 더덕은 꼭지를 떼어내고 세로로 칼집을 넣어 과일 깍듯이 돌려가며 껍질 을 벗겨낸다.

3. 2.의 껍질이 벗겨진 더덕을 크기에 따라서 길이대로 칼로 반이나 4쪽으로 갈라서 소금물에 30분 정도 담가서 찬물로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 한다.

4. 3.의 절여진 더덕에 분량의 양념과 청홍 고추는 반으로 갈라 채 썰어 넣고 잘 버무린다.

5. 4.의 더덕김치는 생으로도 먹지만 실온에서 2~3일 숙성시켜 냉장 보관한다.

 

 

*자료 및 사진제공 : 음식공방 이화점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