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행 : 송지원 / 연출 : 민병환
월~일 | 00:00 ~ 01:30 (재)

신청곡=남사당놀이 중 풍물, 상쇠놀이
  • 작성자jh7799
  • 조회수2145
  • 작성일2019.12.22

신청곡=남사당놀이 중 상쇠놀이 2019년 12월 22일 일요일

2019년 12월 22일 일요일


송지원 선생님이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20호의 계보까지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러니까 지금 대금정악의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신 조창훈 선생님은 3대 보유자가 되시는 군요.


정악과 산조의 차이는 공개방송 ‘악기를 말하다’에 나오셔서 설명을 해주신 선생님들의 설명으로 충분히 이해가 되었습니다. 1) 왕의 음악, 즉 궁중에서 왕과 국가의 주요한 연회를 위해 연주가 되었던 음악과 2) 조선시대 선비들의 음악이 주로 ‘정악’이라는 이름으로 계승이 되었고, 3) 서민들의 음악, 시나위나 무속음악 등 민속악이 명인들에 의해서 정리가 되면서 ‘산조’라는 이름으로 계승이 되었던 거로군요. 

1번+2번 음악=정악은 주로 수신을 위한 음악이고 감정이 드러내지 않고 절제하는 음악이라면, 

3번 음악=산조는 여럿이 함께 어울려서 흥을 만드는 음악이고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음악이라고 정리하면 될까요? 

그래서 음악에 따라 악기도 정악을 위한 악기와 산조를 위한 악기가 각기 다르게 제작되었던 거로군요.


물론 국악개론을 읽어 보면 음악을 또 다른 방식으로 계통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겠지요. 물론 악기도 여러 가지로 구분하는 방법이 더 있겠지요. 국악개론은 차근차근 읽어 보겠습니다. 혹시 잘 정리된 국악개론서를 추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도서관에 갔다가 송혜진 선생님이 지은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국악)>를 빌려오긴 했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국가중요무형문화재 3호로 지정된 남사당놀이의 음악이 듣고 싶어졌습니다. 예전에 대학에서 풍물을 배울 때, 상쇠와 부쇠가 암수로 나뉘어서 서로 주거니 받거니 이어서 연주를 하였던 음악이 기억납니다. 그 때는 그런 음악을 상쇠놀이 혹은 암수놀이라고 했었는데, 아마도 남사당패의 상쇠놀이가 그런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위키백과사전에 찾아보니 “남사당패의 놀이는 풍물,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음), 덜미(꼭두각시놀음) 등 여섯 종목이 남아 전한다”고 하는데 그 중 풍물, 그리고 풍물 중에서도 인사굿과 이어서 이어지는 “돌림벅구, 선소리판. 당산벌림, 양상치기 등 24판 내외의 판굿을 돈 다음 상쇠놀이, 따벅구(벅구놀이), 징놀이, 북놀이, 새미받기, 채상놀이 등의 순서로 농악을 친다”라고 위키백과에는 설명이 나오네요.


이전 다음
목록으로
  • jh7799
    등록일 : 2019.12.24
    안성 공연관에서 남사당만 하지 말고, 
    gichosil 님이 좋아하시는 육자배기나 판소리공연을 가끔이라도 하면 좋을텐데 말입니다.^^
  • jh7799
    등록일 : 2019.12.24
     바우덕이가 남사당이었군요. 
    그런데 남자들의 사당패인 남사당에 
    여성이 꼭두쇠까지 했다고 하니 선구자이네요. 
  • jh7799
    등록일 : 2019.12.24
    바우덕이의 본명은 김암덕 혹은 박우덕이라고 하며 5세에 남사당에 들어가 15세에 꼭두쇠가 되었다고 한다. 바우덕이는 꼭두쇠로 뛰어난 기량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미모 또한 빼어나 대중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특히 바우덕이는 소고에 능했으며 경복궁 중건 때 뽑혀서 소고와 선소리를 하였다고 한다. 대원군은 일꾼들의 신명을 돋우는 그녀의 예술성을 칭찬하고 옥관자를 하사하였다.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3&cp_code=cp0601&index_id=cp06010013&content_id=cp060100130001&search_left_menu=2
  • gichosil
    등록일 : 2019.12.23
    저는 귀향한 친구가 안성에 살아서 안성 바우덕이 공연관 수 없이 지나같는데..
    그곳에서 공연은 아직 못보았습니다.
    아마 육자백이나 판소리 공연이었으면 관람 햇을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