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출 : 길현주
월~일 | 02:00 ~ 05:00

인간 문화재 무송 박병천 평전 후기
  • 작성자무상초들녁
  • 조회수829
  • 작성일2021.06.04

1933년 전남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에서 태어나 2007년 타계한 우리 전통 민속예술인 박병천의 74년간 삶을 담담하게 펼쳐낸 평전(評傳)이다. 본인과 소수주변인들의 편의위주 한정된 이야기가 아닌, 박병천의 삶과 함께한 71명의 느낌과 각인, 대중들에게 공개된 자료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정리하여 Communication Design 전공 김태영이 기획 편집하고 국문학을 전공한 한국문화재재단 홍보팀장 이치헌이 글로 읽기 쉽고 책장 넘기기 편하게 풀어냈다.

 

박병천은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예능보유자로 진도북춤 창시자이고, 진도가 보유한 국가도 지정 10개 무형문화재, 강강술래/ 남도들노래/ 진도씻김굿/ 진도다시래기/ 진도북놀이/ 진도만가/ 진도홍주/ 남도잡가/ 진도 소포걸군농악/ 조도 닻배노래가 문화재로 등재되도록 발굴하고 다듬는데 절대 기여자였다. 그는 한 세기에 한명 태어날 수 있는 천재 예술인이었지만 가계(家系)가 세습무당으로 수많은 경계선에서 많은 좌절고민선택을 지나가야하는 삶을 겪어낸 운명의 한을 승화시킨 풍운아이다.

 

박병천의 아름다움과 애환은 하나. 무당도 밤길은 무섭다/ . 문화재 보물섬/ . 춤추는 망부석/ . 진도 민속 문화의 대변자/ 다섯. 악가무(樂歌舞)를 마음대로 통달했을 때 진짜 가 되는 거외다/ 여섯. 이 선생님 진짜다! 정말 퍼펙트 그 자체였어요/ 일곱. 넋인 줄을 몰랐더니 오늘 보니 넋이로세/ 여덟. 살아남은 자와 죽은 자의 화해 의식/ 273쪽 여덟 개의 큰 제목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44개의 소제목을 붙였다, 무가(巫家)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진도(珍島), 진도예술, 전통민속 예술인, 예술지도자와 스승, 무교인(巫敎人), 아버지와 가장이 순서대로 꾸밈과 가식 없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마음에 와 닿는다.

 

첫 장을 펼쳐 한 장을 읽고 나면 어린 시절 무협지를 읽으면서 다음 장이 궁금해 책을 덮지 못하듯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다보면 어느새 아쉬움의 여운이 남는다. 박병천을 더 알고 싶고, 진도를 가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며, 진도씻김굿과 진도북춤이 보고 싶다, “다른 사람 뭔가 잘되게 해주쇼, 복 나려주십쇼, 수명장수하게 살아주십쇼, 이런 것을 전부 빌어주는 것이 굿이여박병천의 말이 이해된다. “자네는 자네대로 예술가의 냄새를 내야지 예술은 발전해야 돼. 똑같이 춘다고 되는 게 아니야.” 박병천의 높은 예술세계가 감명으로 다가온다.

 

그분의 몸동작 그 자체가 천재고, 그다음에 성음 자체가 천재고, 플러스 교육하는데 있어서 그 언변, 그 자질이 천재요, 그런 세 박자를 갖춘 분이 없습니다.”이현표 전 주독일한국문화원장의 평가처럼 최고 최상의 예술인이지만 잘잘한 애기들도 저 당골네 새끼 간다.” 무당에 대한 천시가 특히 심한 진도 역사와 환경이 주는 갈등 속에서 한 평생을 벗어나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 박병천의 삶을 각자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며 승화 시켜야 되는가에 대한 숙제를 던져준다.

 

한 인간의 발자취를 조명한 평전이지만 그냥 범인의 이야기가 아니고 특별한 운명을 가진 최고 최상의 예술인 인간문화재 무송 박병천을 단 한사람이라도 더 많은 사람들이 읽고 우리 전통 민속예술을 이해하고 이야기하며 그 가치의 아름다움이 얼마나 소중 한지를 한 번쯤 가슴에 담아 볼 수 있다면 좋겠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