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행 : 김보미 / 연출 : 김정은
조연출 : 이예리 / 작가 : 윤은숙
월~일 | 18:00 ~19:30

역사전쟁 - 북한 초대 친일 내각
  • 작성자dudgns
  • 조회수3236
  • 작성일2014.10.09
c1.png

c2.png

c3.png

 

좌익의 유토피아

 

북한의 초대내각 및 주요인사 친일 행적

 

부주석 김영주(김일성 동생)  서열 2위          > 친일파 (일제 헌병보조원)

 

인민위원회 사법부장 장헌근  서열 10위      => 친일파 (일제 중추원 참의, 끝판왕)

 

인민위원회 상임위원장 강양욱 서열 11위    > 친일파 (일제 도의원)

 

문화선정성 부부장 정국은                             => 친일파 (일제 아사히신문 기자)

 

보위성 부상 김정제                                          > 친일파 (일제 양주군수)

 

문화선전성 부상 조일명                                  > 친일파 (대화숙 출신, 학도병 지원 유세주도, 끝판왕)

 

부수상 홍명희                                                   > 친일파 (임전대책협의회 가입 활동)

 

공군사령관 이활                                              => 친일파 (일제 나고야 항공학교 정예출신, 출격횟수 2000회 이상 베테랑, 끝판왕)

 

인민군 9사단장 허민국                                   => 친일파 (일제 나고야 항공학교 정예출신)

 

인민국 기술부사단장 강치우                         => 친일파 (일제 나고야 항공학교 정예출신)

 

제주 4.3반란사건 주동자 김달삼                  => 친일파 ( 일본군 소위)

 

노동신문 창간인 박팔양                                 > 친일파 (일제 만선일보 출신)

 

김일성대 교수 한낙규                                    => 친일파 (일제시대 검찰총장, 끝판왕)

 

행정국 산업부장 정준택                                => 친일파 (일제 광산지배인 출신, 일본군 복무)

 

교통국장 한희진                                              > 친일파 (일제 함흥철도 국장)

 

남로당 서열2위 이승엽                                  => 친일파 (일제 식량수탈기관 "식량영단" 이사, 끝판왕)

 

 

 

 

 

 

 tt.png

e1.png



대통령 이승만(李承晩) - 상해임시정부 초대 대통령-황해도 평산 출신

 

협성회 회보와 독립신문 주필, 교육계몽운동 등으로는 독립협회 활동 등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 방법을 놓고 의견이 갈라섰을 때 그는 국내의 사정을 외국에 알리고 양해를 구하는 외교독립론을 주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총리, 한성 임시정부와 각지에서 수립된 임시정부의 수반을 거쳐

 1919년 9월부터 1925년 3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직을 역임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 국무위원회 외교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로 미국에서 외교 중심의 독립운동을 벌였다


 

부통령 이시영(李始榮) - 상해임시정부 재무총장-경주 이씨

 

한일합방 이후 독립운동에 투신, 일가족 40인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였다.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고, 1919년 9월 통합 임정 수립 이후 김구, 이동녕 등과 함께 임시정부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국무총리*국방장관-이범석(李範奭, 광복군 참모장)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이자 정치가이다. 고등학교 재학 당시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9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와 북로군정서 등지에서 항일독립활동을 하였으며, 청산리 전투에 김좌진을 도와 공을 세웠다.

 그뒤 소련과 만주에서 활동하던 중 중국으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 광복군의 중장으로 광복군 참모장과 제2지대장 등을 지냈다.


국회의장 신익희(申翼熙) - 임시정부의 내무총장 -경기도 광주 출생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다. 중국의 군인으로도 있었다.

중화민국 육군 중장, 대학 교수 등을 지냈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 임정 초대 법무부 차장, 외무부 차장, 내무부장 등을 지냈다.

 

대법원장 김병로(金炳魯) -

 

항일변호사-전라북도 순창 출생.-

일제강점기 때에는 각 학교의 법률학 전문 교수와 독립운동가들을 무료로 변호하는 민족 인권변호사로 활약하여

이인,허헌과 더불어 대표적인 3대 인권변호사였다. 신간회 활동에도 참가하였다.


 

외무장관 장택상(張澤相) -일제시대 청구구락부 사건으로 투옥된 경험-경상북도 칠곡 출생.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경찰관·외교관·서예가이다.

일제 강점기 해외 유학, 파리위원부와 구미위원부 등에서 독립운동을 하였고, 소련 등을 거쳐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에 유학하다 귀국,

국내에서는 청구구락부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다.


 

내무 장관 윤치영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교육자, 외교관이었다. 미국 유학을 다녀왔고 이승만(李承晩)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일제 강점기에는 임정 구미위원부 활동, 삼일신보 제작 등에 참여하였으며,

이승만을 보좌하는 등의 독립운동을 하다 흥업구락부 사건 당시 체포되어 9개월간 영어(囹圄)의 몸이 되었다.


 

재무장관 김도연(金度演) -

 

3.1운동에 앞선 2·8독립선언을 주도하여 투옥-경기도 김포 김도연(金度演, 1894년 6월 16일 ~ 1967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1919년 2·8 독립선언 당시 11명의 대표 중 한 사람이다. 유학 후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법무부 장관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음력 9월 20일) ~ 1979년 4월 5일)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다. 일본 유학 후, 1923년 변호사시험에 합격, 변호사를 개업하고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김병로, 허헌과 함께 독립운동가 및 애국자, 사회저명인사들을 상대로 무료변호를 하여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절하였고,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가담하였다.


 

문교장관 안호상(安浩相)-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호는 한뫼이고, 경상남도 의령(宜寧)에서 태어났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에 연루되었으나 병중이라 체포는 면하였다.


농림장관 조봉암(曺奉岩)-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여 1년 동안 복역하였다. 일본 주오[中央]대학에서 1년간 정치학을 공부하고

비밀결사 흑도회(黑濤會)에 참여하여 사회주의사상에 입각한 독립쟁취를 목표로 항일운동을 하다가 귀국하였다.

 1925년 조선공산당 조직에 참여하고, 고려공산청년회의 간부가 되었다.


 

상공장관 임영신(任永信) -

 

중앙대학교의 설립자이며, 교육활동 외에 독립운동에도 종사하였고 이승만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다.


 

사회장관 전진한(錢鎭漢) -

 

일제시대에도 노동운동을 했던 사람-강원도 고성 경상북도 문경(聞慶)출생. 1928년


교통장관 민희식(閔熙植) -

 

교통전문가-출생지 파악 안됨. 후임인 허정씨는 부산 출생이자, 독립운동가였음.


 

체신장관 윤석구(尹錫龜) -교육 사회운동가-충남 서천군 출생

 

영국 선교사가 세운 한영학교를 수석졸업, 한영학교 교사로 재직해오다 1913년 중국 만주지방에서부터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일본군에 대항하는 독립군으로 활동하던 윤석구는 황포 군관학교 2기로 졸업하면서

김구의 명령에 의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통제 조직인 임시정부 삼수지국에 임명된다.

삼수지국은 이미 독립협회의 밀파 공작원으로 활동하던 윤석구가 삼수군(三水郡,옛 만주부근)으로 내려와 활동하는 동안

강일기,박기춘 두 명은 물론 주민에게 음과 양으로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자주정신을 배양케 해 민족항쟁의 정신적 토대를 이룬 곳이다.

 이후 윤석구는 1922년 상하이 임시정부 국내 자금책에 임명돼 국내로 복귀

군산 멜볼딘여고 교사로 재직하면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계속해서 군자금을 보냈다.



국회부의장 김동원(金東元) -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투옥되었던 독립운동가 출신- 구한말기 애국계몽운동가, 일제강점기 교육인, 사업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구한말기 교사로 지내면서 비밀결사단체인 신민회에 투신하여 활동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평양YMCA 지회등 활동하여 민족주의자로 교육활동 및 사회활동등 전개하여 실력양성 및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말기(전시체제)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 이후로 친일파로 변절했다.

광복 이후 고당 조만식과 평남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해 활동했으나, 곧바로 월남하여 한국민주당에 참여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고 국회부의장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납북되었다.


 

국회부의장 김약수(金若水)-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통일운동가이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단체조직과 항일활동을 하다가 해방뒤에는 한민당 조직에 가담했으나,

한민당 정치노선에 싫증을 느껴 1946년 10월 탈당. 김규식계열 정치노선에 활동하여 좌우합작운동에 투신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제헌국회에 당선되어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나 뒤에 국회프락치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한국전쟁 중 조선인민군에 납치되었다.


김병연 초대 총무처장

 

항일 독립운동가. 간도 군관학교에서 활약하였으며, 철혈청년단(鐵血靑年團)· 흥사단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8· 15광복 후 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총무처장, 이북 도청의 평안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초대 공보처장김동성(金東成) 1890∼1969.

 

1920년 4월에 동아일보사에 입사함으로써 언론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1920년 8월 중국을 비롯하여 아시아 각국을 순방중이던 미국국회의원시찰단을 우리나라에 유치하여 일제 식민치하의 실상을 해외에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1921년 10월에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제2차만국기자대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부의장에 피선되었으며,

같은해 11월에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태평양군축회의에 한국기자로는 최초로 참석하여 취재활동을 폈다.


 

2f742a86fb2411832563071ddbaa74f8.jpg

..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