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출 : 길현주
월~일 | 02:00 ~ 05:00

밀양 아리랑 후기
  • 작성자무상초들녁
  • 조회수2163
  • 작성일2016.06.21

한국문화재 재단에서 기획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 극장에서 61,2,3주 목요일인 2, 9, 16일에 순서대로 무대에 올렸던 인류무형유산 아리랑을 대표하는 3대 아리랑 진도 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중 세 번째 무대 밀양 아리랑이야기 이다. 앞의 두 공연이 그러했듯 오직 아리랑만을 보여 준 것이 아니라, 아리랑이 태어나고, 이어지며, 생활이 된 지역의 문화를, 있는 모습 그대로 담아내며 마치 밀양거닐면서 풍류를 즐기는 착각 속에 빠지게 하였다.

 

밀양 백중놀이 보존회가 밀양 백중놀이 3과정 9마당 중 첫 과정인 농신제(農神祭)를 생략하고, 두 번째 과정인 작두말타기’, 세 번째 과장 춤판에서, ‘양반춤’ ‘병신춤(양반희롱)’ ‘범부춤으로 토속의 참 멋을 보여주었다.

 

이어지는 뒷 놀이로 밀양 아리랑 보존회의 순화되지 않고, 다듬어지지 않은, 전통(傳統) 밀양 아리랑이 풍류극장을 뜨겁게 달구더니, 밀양백중놀이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 하용부의 춤 영무(靈舞)가 관객을 무아지경(無我之境)으로 빠뜨려 버렸다.

 

이 환상을 깨뜨리는 밀양오북춤은 엉덩이를 들썩이게 했고, 여운이 아쉬운 모든 출연자와 관객이 무대 위에서 하나가 되어 뛰며 놀다 어우러지니 공연의 끝은 의미가 없었다.

 

밀양백중놀이(密陽百中놀이)는 옛 부터 머슴 날이라 불리는 벼농사 세벌김매기를 끝낸 여름철 휴한기(休閑期) 음력 715백중날, 머슴들이 지주들의 집을 돌며 각출(各出)한 비용으로 동네 축제를 열어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최고의 노비를 뽑는 놀이이다.

 

머슴 왕이 정자관을 상징하는 뒤집어 쓴 갓에, 관복을 의미하는 뒤집어 걸친 도롱이(雨裝)이로 품격을 갖추고, 지게로 만든 가마를 타고, 긴 나팔을 길게 서너 번 불며 앞장을 서며, 상놈이 양반 행세하며, 째보양반, 고자양반, 벙어리양반 등이 나와 양반을 욕보이는 풍자놀이 행진 작두말타기, 화가 난 양반이 춤추며 신분을 드러내고, 이어서 머슴들이 양반을 몰아내고 병신춤을 추며 양반을 희롱하자, 여기에 양반이 도포를 벗고 장구 잽이 앞에서 개인기를 선보이는 범부(凡夫)을 추며 모두가 하나가 되는 놀이로, 차별대우를 받은 상민과 천민들의 서러움을 익살과 해학으로 표현했다.

 

물 항아리에 바가지를 엎어 놓고 두들기는 물장구’, 항아리 뚜껑을 울림통으로 하여 줄을 엮어 만든 사장구’, 여물통을 엎어서 두들겨 공명(共鳴)을 만들어 내는 여물통 장구의 반주에 지게 받침 작대기로 박자를 맞추며 부르는 세마치장단의 밀양 아리랑은 경상도 민요 같지 않고 조금 빠른 3박 장단의 경기민요 같지만, 언제부터 불리어졌는지 알 수 없는 토착소리가 살아있는 토속 아리랑소리가 살아 있어 더욱더 흥겨웠고 저절로 따라 부르는 목소리에 착착 달라붙는 정이 끈적거렸다.

 

서정주1941년에 발표한 <화사집>에 수록된 시, 서풍부(西風賦)너도 아니고 그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닌데, 꽃인 듯 눈물인 듯 아니라는데... ” 시어를 반복하여 노래하는 장사익의 노래가 흐르며, 둥근달이 달빛 머금은 산을 넘는 영상이 가득 채워버린 무대에서, 무념(無念) 무상(無想) 무질서(無秩序)의 극치를 춤으로 환생시킨 하용부의 영무(靈舞)에 감격(感激)의 눈물이 저절로 솟구치던 한 여성의 숭고한 얼굴표정이 지금도 지워지지 않는다. 보지 않은 사람들에게 춤의 전율을 전달 할 수 없어 안타깝다.

 

4명의 남성과 1명의 여성, 다섯 사람의 북 잡이가 왼팔 상단에 긴 끈을 감아 메고 북을 두들기며 원()을 그리고 흩어지며 추는 오북춤은 단조로운 가락과 단순한 동작의 연속 이었지만 밀양아리랑에 담겨있는 밀양인의 신명과 힘찬 기개(氣槪)가 넘쳐났고, 밀양백중놀이에 담겨 내려오던 상놈의 한을 멀리멀리 털어내는 토함 소리요, 날개 짓이었다.

 

진도아리랑공연이 종합예술의 집합체로 최상의 무대 공연이었다면 하용부의 영무(靈舞)를 빼고 난 밀양아리랑공연은 투박하고 거칠며 덜 다듬어진, 그냥 신명나는 놀이이었다. 그래서 더 좋았다. 우리 아버지와 어머니가, 옆집 아저씨와 동네 아주머니가 살고 계셨고, 웃음과 즐거움이 있었고, 기쁨이 넘쳤으며, 행복이 가득 했다.

 

이전 다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