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취자참여

게시판 운영 원칙!

국악방송 자유게시판은 청취자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의견 공유와 원활한 게시판 운영을 위하여 게시 글 작성 시 아래 이용 원칙을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게시물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될수 있으며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는 글쓰기 권한을 제한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1 유언비어 및 비방성 게시물
    • 유언비어, 인신공격 및 비방성 글(실명이 거론된 비방성 글로 인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는 글)
    • 욕설 및 욕을 변형한 단어가 포함된 글
    • 분란이나 분쟁을 유도하는 글
    • 타인 또는 타 단체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
  • 2 음란물의 게재 등 공공질서와 미풍양속을 해치는 게시물
    • 음란물 게시 또는 음란 사이트를 링크한 글
    • 폭력행위를 미화하거나, 퇴폐적인 행위를 미화하여 혐오감을 주는 글
  • 3 광고 홍보성, 상업성 게시물
    • 특정업체 상품소개 및 홍보 글
    • 돈벌이 광고 게시 및 돈벌이 사이트 링크, 경품 및 추천가입제 광고 글
    • 특정 단체(업체)의 이해 관계와 관련된 글
  • 4 스팸성 게시물
    • 도배 및 게시판에 중복해서 올리는 글
    • 말이 되지 않는 단어나 이미지 조합 및 장난성 글
    • 행운의 편지
  • 5 게시판 주제에 맞지 않는 게시물
    • 해당 게시판의 성격에 부합되지 않는 글
  • 6 개인정보 유출 게시물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된 글
    • 타인의 ID를 도용하여 작성된 글
  • 7 관계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요청이 된 글
    • 국악방송 퍼가기를 허용한 콘텐츠 이외의 자료(동영상,사진,음원,링크 등)가 포함된 게시 글
    •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글
  • 공개된 게시판에 휴대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말아 주십시오.
  • 저작권자에 의해 저작권 보호 요청이 된 글을 포함하여 각종 법에 저촉되거나
    범죄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게시물은 관계법령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쾌적한 게시판의 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행 : 송지원 / 연출 : 민병환
월~일 | 00:00 ~ 01:30 (재)

계섬과 강수연
  • 작성자jh7799
  • 조회수447
  • 작성일2022.05.15

2022-05-15계섬과 강수연

송지원 선생님의 책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를 읽었습니다. 처음에는 “잊고”가 “잇고”인 줄 알고 ‘마음이 입을 이어서 전승되고, 입이 소리를 이어서 구전된다’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다시 읽으니 “잇다connect”의 의미가 아니라 “잊다forget”의 의미였군요. 조선시대 여성 음악가 계섬을 칭찬한 말이더군요. 


“心忘口 口忘聲”

“소리가 하늘하늘 온 집안에 울려 퍼졌다.”


“지금 세상에는 너만한 남자가 없으니 너는 끝내 진정한 만남을 이루지 못하고 죽을 것이다.” 

이정보가 계섬에게 남긴 말이라고 하는 군요. 자식도 없이 홀로 사라진 계섬의 목소리를 지금 들을 수는 없겠지요.


얼마 전 지금 세상에서 그녀만한 남자가 없어서 진정한 만남을 이루지 못하고 홀로 세상을 떠난 어느 여배우의 삶도 그러했을까 미루어 짐작해봅니다.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에서는 기억에 남는 영화음악이 없고 <서편제>에서는 아리랑을 부르며 산길을 내려오는 장면이 또렷하네요. 첫 번째 신청곡은 그렇게 아리랑이나 <서편제>에서 나오는 음악 중 하나를 들려주시면 고맙습니다. 

   

이정보가 죽고 심용의 후원으로 음악을 계속 이어가던 계섬이 평양감사 회갑연으로 원정공연을 갈 때 불렀던 노래가 무엇이었을까 궁금합니다. 이정보나 심용과 같이 한양(서울)을 기반으로 한 사대부의 후원을 받아 노래를 하였던 터라 아마도 경기민요가 아니었을까 추측해봅니다. 두 번째 신청곡은 국가무형문화재 57호인 경기민요 명예보유자 이윤란 선생님 혹은 이춘희 선생님의 음원 중 하나로 들려주시면 고맙습니다.


마지막 질문은 여성 음악가 계섬처럼 조선시대에도 출중하였던 “춤꾼” 혹은 여성 무용가가 있었을텐데, 그런 이름은 듣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소리는 계보를 쫓아 전승되고 이를 집대성하였던 시기가 있었지만, 한국무용은 주로 군무였고 독무로 정리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항상 한국 최초의 현대무용가는 항상 최승희부터 시작하는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그가 춘 춤이 한국무용은 아니었던 것 같고요. 혹시 조선시대 무용가 중에 계섬처럼 알려진 무용가가 있었을까요?


고맙습니다.

마들재에 사는 서생 한준섭 올림.


이전 다음
목록으로